![DP9131 house](https://static.wixstatic.com/media/7814d5_d873e6435e534cc7829dfde009522eab~mv2_d_5552_3691_s_4_2.jpg/v1/fill/w_980,h_652,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7814d5_d873e6435e534cc7829dfde009522eab~mv2_d_5552_3691_s_4_2.jpg)
photo©Hyosook Chin
![DP9131 house](https://static.wixstatic.com/media/7814d5_e1264fba741b4630b0c58555c9a5ea33~mv2_d_5347_3565_s_4_2.jpg/v1/fill/w_980,h_653,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7814d5_e1264fba741b4630b0c58555c9a5ea33~mv2_d_5347_3565_s_4_2.jpg)
photo©Hyosook Chin
![DP9131 house](https://static.wixstatic.com/media/7814d5_13933530495c4cb48a2a1f29d8a79ff1~mv2_d_4167_2583_s_4_2.jpg/v1/fill/w_980,h_607,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7814d5_13933530495c4cb48a2a1f29d8a79ff1~mv2_d_4167_2583_s_4_2.jpg)
Visualization
![DP9131 house](https://static.wixstatic.com/media/7814d5_d873e6435e534cc7829dfde009522eab~mv2_d_5552_3691_s_4_2.jpg/v1/fill/w_980,h_652,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7814d5_d873e6435e534cc7829dfde009522eab~mv2_d_5552_3691_s_4_2.jpg)
photo©Hyosook Chin
DP9131 house
Architect: skimA, Sejin Kim
Staff in Charge: Yunseon Cho
Location: Deokpungdong, Hanam-si, Gyeonggi-do
Program: House
Site Area: 261.00 m²
Building Area: 130.10 m²
Gross floor area: 345.76 m²
No. of floors: B1 & 2-Storey Above Ground
Height: 8.90 m
Structure: Reinforced Concrete
External materials: Polished Basalt Brick
Contractor: Agreable / Yungsub Park
Design Period: Jun 2016 – Mar 2017
Construction Period: Apr 2017 – Dec 2017
Completion: Dec 2017
Photography: Hyosook Chin
설계: 스키마(skimA), 김세진
설계담당: 조윤선
위치: 하남시 덕풍동 미사지구
용도: 단독주택(다가구주택)
대지면적: 261.00 ㎡
건축면적: 130.10 ㎡
연면적: 345.76 ㎡
규모: 지하1층, 지상 2층
높이: 8.90m
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외부마감: 현무암벽돌 (연마)
시공: (주)태웅건설 / 박영섭 소장
설계기간: 2016. 6. ~ 2017. 3.
시공기간: 2017. 4. ~ 2017. 12.
준공: 2017. 12.
사진: 진효숙 작가
DP9131 house is built within the brand new a housing lot where the whole area was empty in the design period. There is neither context nor place-ness to consider. These days in Korea, two-housing units in one building (generally called 'peanut-house') is famous as one is for owner and the other is for rent to manage the cost of construction. As these houses generally tend to juxtapose two houses for independency and privacy, it likely weakens the integrity of building in architectural point of view. For DP9131 house, we aimed to provoke the integrity of form by systemizing the organiz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in the house rather than simply splitting into two masses. DP9131 house is started from 9x9 grid system where 9 division into 1 building, 3 housing units into 1 house transformed by the spatial requirements. By three-dimensional engagement of spaces, it tried achieving the clarity and integrity of form.
For the client who has lived in the apartment housing, we would like to maximize the potentials of the detached house like facing all four directions, having a sky, and a flexible ceiling height. In comparison with the compact and most efficient plan layout in apartment, we provide a circulation with a sequence of various ways facing outside. DP9131, for maximizing south-facing and greenery on the backside, 'ㄱ‘, ’ㄴ‘ shape units are interlocked as each unit faces all four directions by windows, skylight, terrace, stairwell to attic and finally to the roof garden. By this way, the house gains three-dimensional space flow with various interface with external environment.
DP9131 house is positioned in black with its luxurious weight and robustness for the completeness and simplicity contrary to surroundings where would be filled with a diverse colors and materials. External finishing material is a polished basalt brick as a single exterior material. The basalt brick is not actually brick but a natural stone with a porous texture and it is polished to ensure color and gloss close to black. The basalt is cut and use like a brick to have a horizontal texture through joints.
九一三一 (9131)
새로운 단독주택용지인 경기도 하남시 미사지구에 지어진DP9131다가구 주택은, 계획당시 아무런 주변건물이 없는 대지의 상황에서, 정방향의 필지안에 주택 자체가 가질 수 있는 조직화와 일반적으로 두개의 가구별 매스가 병치하여 나란히 붙어있는 일명 땅콩집의 형태가 아닌, 하나의 건물로서의 명료성을 목표로 하였다. DP9131주택은9x9 그리드체계에서 시작하여, 9분할의 공간이 하나(1)의 집으로, 3가구가 하나(1)의 집으로 조직화된 모습을 드러낸다. 공간적 요구사항들을 통한 형태적 변화와 매스의 분할이 아닌 매스의 맞물림을 통해 하나의 건축물로서의 간결성을 확보한다.
흘러가는 동선
아파트에 살아온 건축주에게 주택에서 얻을 수 있는 장점; 두면만이 외기에 접하는 아파트에 반해 네 면이 외기에 접할 수 있으며, 하늘을 가질 수 있고, 복층이 가능하고 층고가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장점을 통해, 아파트와 같은 효율적인 평면이 아닌 단독주택만의 장점을 극대활 수 있는 연속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외부에 면할 수 있는 동선과 공간의 연속성을 계획하였다. 상부의 두 가구는, 남향인 정면과 후면의 완충녹지의 조건을 최대한 활용하여, ㄱ, ㄴ의 형태가 서로 맞물린 방식을 취한다. 각각의 가구는 흘러가는 동선에 따라 네 방향 전망을 모두 접하며 옥상데크로 연결되며, 천창, 외부로 향한 창, 중정을 향한 창, 테라스, 경사지붕 등의 입체적인 공간을 통해 연속적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외부와 면한다.
단단한 무게
현무암벽돌로 쌓여진 외부는, 앞으로 다채로운 색상과 재료로 채워질 주변에서 DP9131주택이 블랙(Black)의 고급스러운 무게감과 단단한 모습으로 자리하도록 계획되었다. 건축물로서의 완결성과 간결성을 위해 단 하나의 외장재로 계획되었으며, 이를 강조하기 위해 난간 등은 투명유리로 처리하였다. 일반적인 벽돌이 아닌, 실제 ‘돌’인 현무암의 소공, 개미굴이 만드는 자연스런 텍스쳐와 연마를 통해 블랙(Black)에 가까운 색상과 광택을 확보하고, 벽돌이 아니지만, 벽돌처럼 쌓기를 통해 줄눈을 통한 수평적 결이 들어나도록 계획하였다.